주택 월세비중 55% '사상 최고'…2년만에 4.5%p↑
주택 월세비중 55% '사상 최고'…2년만에 4.5%p↑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내 집 마련' 의지 79.1%…40세 미만 감소폭 커
생애 첫 내 집 마련까지 기간 6.9년으로 줄어

▲ 임차가구 중 전·월세가구 비율 (자료=국토교통부)

[서울파이낸스 성재용기자] 지난해 전국 전·월세 가구 가운데 월세 가구 비중이 55.0%로 절반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의 월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사상 최고치를 찍었다.

15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14년 주거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전·월세 거주가구 중 월세(보증부 월세 포함) 비중은 55.0%로 2012년보다 4.5%p 올랐다. 조사를 처음 시작한 2006년(45.8%) 이래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월세 비중 추이를 살펴보면 2006년 45.8%에서 2008년 45.0%로 소폭 하락했다가 2010년 49.7%, 2012년 50.5%로 상승해 지난해 정점을 찍었다.

보증금 있는 월세 비중은 같은 기간 15.3%에서 21.8%로 9년새 6.3%p 높아졌다. 반면 전세 비중은 54.2%에서 45.0%까지 떨어졌다. 전세가 보증금 있는 월세로 전환됐다는 의미다.

집을 소유한 비율을 나타내는 자가보유율은 58.0%로 2년 전에 비해 0.4%p 하락했다. 자가보유율은 2006년 이후 매년 하락하는 추세다.

권역별로 상황이 달랐는데, 수도권(52.3→51.4%)과 도 지역(67.2→66.8%)은 소폭 떨어졌으나 지방광역시(59.0%→59.9%)는 상승했다. 소득계층별로는 고소득층(77.7%)은 증가한 반면 저소득층(50.0%)과 중소득층(56.4%)은 감소했다. 자기 집에 사는 비율인 자가점유율은 53.6%로 2012년보다 0.2%p 떨어졌다.

또한 '내 집을 꼭 마련하겠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조사대상의 79.1%로, 2010년보다 4.6%p 감소했다. 연령별로는 40세 미만 응답자(73.3%)의 내 집 마련 의지가 가장 낮았다. 2010년(79.9%)과 비교한 감소폭도 가장 컸다.

생애 처음으로 주택을 마련하는 데까지 걸리는 기간은 2012년 8.0년에서 지난해 6.9년으로 단축됐다. 국토부 관계자는 "결혼이나 세대독립 등으로 인해 가구주가 된 연령이 32세로 높아졌고 저금리, 생애최초 구입자금 지원 등 3년 이내에 생애최초로 주택을 마련한 가구비율이 42.8%로 증가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1인당 최저 주거면적과 화장실 설치 여부 등을 고려해 국토부가 설정한 최저주거기준에 미달하는 가구 비율은 5.3%로 집계됐다.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는 2006년 16.6%에서 꾸준히 떨어져 2012년 7.2%, 지난해 5.3%까지 내려갔다.

1인당 주거면적은 33.5㎡로 2년 전(31.7㎡)보다 1.8㎡ 증가했다.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거환경에 대한 만족도 역시 4점 만점에 2.86점으로 지난 조사 때보다 0.03점 올랐다. 주거의 질적, 양적 수준이 높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평균 주거기간은 7.7년이었다. 자가가구는 11.2년, 임차가구는 3.5년으로 2년 전에 비해 각각 1.3년, 0.2년 줄었다. 임차가구의 월 소득 대비 임대료 비율(RIR)은 전국 기준 20.3%로 2012년 19.8%에 비해 0.5%p 상승했다. 임대료 및 대출금상환 부담을 느끼는 비중도 월세가 82.3%로 가장 높았다.

한편 국토부는 지난해 7~9월 국토연구원과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2만가구를 대상으로 개별 면접방식 2014년 주거실태조사를 진행했다. 이 조사는 2006년부터 격년 단위로 실시하고 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