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통신사 마케팅비 증가는 고객 지원금 탓?
[기자수첩] 통신사 마케팅비 증가는 고객 지원금 탓?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이철기자] 지난해 10월1일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이 시행되기 직전, 시장에서는 이동통신 3사의 마케팅비가 감소해 수익구조가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다. 그리고 감소분의 일부는 소비자에게로 환원될 것이라는 기대도 나왔다.

하지만 최근 지난해 4분기 실적발표에서 이같은 전망은 모두 빗나갔다. 4분기 SK텔레콤은 8160억원의 마케팅비를 써 전분기 대비 1.9% 가량 지출을 줄였지만, 같은 기간 KT와 LG유플러스는 각각 9.6%, 8.6% 늘어난 7416억원, 5182억원을 집행했다.

이같은 결과에 대해 이통사들은 '특정 소비자에 많이' 주던 지원금(보조금)을 '적지만 모두에게' 준 것이 원인이라고 입을 모았다. 실제로 LG유플러스의 경우 저가 요금제에 대한 마케팅 비용이 종전보다 50% 늘었다고 밝히기도 했다.

하지만 비단 지원금만이 마케팅비 상승의 원인이라고 하기엔 무리가 있다. 마케팅비에는 소비자에게 지급되는 지원금 외에도 대리점에 지급되는 판매장려금(리베이트)과 수수료, 광고선전비 등이 포함돼 있다.

실제로 단통법 시행 후에도 이통3사의 리베이트 경쟁은 지속적으로 진행됐다. 어느 한 사업자가 갑자기 리베이트를 수십만원씩 올리며 가입자 유치를 독려하면, 다른 사업자 역시 대응 차원에서 이 금액을 끌어 올렸다. 이같은 일이 문제로 불거져 방송통신위원회가 특정 사업자에 대해 조사에 들어가 있는 상황이기도 하다.

광고선전비 역시 마찬가지다. 이통3사는 '잘생겼다', '기가팍팍', '팔로미'을 알리기 위해 지난해 4분기 약 2720억원을 쏟아부었다. 이는 3분기 2202억원에 비해 23.5% 증가한 수치다. 이통3사는 이미 지난해부터 지상파의 상위 5대 광고주 안에 모두 포함돼 있기도 하다.

결국 지원금 뿐만이 아닌 총체적인 비용 증가가 마케팅의 상승으로 이어졌다고 봐도 무방하다는 결론에 이른다. 이는 곧 고객 한명을 유치할 때의 비용이 커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사업자들은 이전보다 비싼 돈을 들여 잡았던 가입자가 이탈하는 것을 막기 위해 가입 후 6개월 동안 최대 위약금을 내도록 제도를 변경하는 단계까지 이르렀다.

소비자 후생에 역행하는 악순환의 반복이다. 이통사가 마케팅비를 스스로 줄이고 그 이익 중 일부라도 가입자에게 환원하기를 기대하는 것은 지나친 기대일까.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