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기고] 車 튜닝산업,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
[전문가기고] 車 튜닝산업,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40년간 낙후돼 왔던 국내 자동차 튜닝산업이 2013년 창조경제로 선정되면서 선진형으로 탈바꿈할 수 있는 기회를 잡게 됐다. 그 동안 자동차 튜닝분야는 워낙 부정적인 시각이 강하고 아예 시장도 존재하지 않을 정도로 음성적이라 규모 자체도 파악하기 힘들 정도였다. 어림잡아 5000억원 시장도 확인된 것이 아니라 오직 추정이라고 할 수 있다. 정부가 2020년까지 약 4조원 이상 국내 자동차 튜닝산업을 구축하겠다는 계획도 일본 등과 비교해 잡은 수치다.

역시 자동차 산업의 먹거리 확보 측면에서 자동차 튜닝 시장을 활성화는 꼭 필요하다. 국내 자동차 산업은 40년 이라는 짧은 역사기간 동안 세계적인 수준에 올라갔지만 아직 대중차의 이미지에 그쳐 고성능 프리미엄급 브랜드로 성장해야 하기 때문이다. 수익모델의 극대화와 이미지 제고, 고용창출, 기술개발, 나만의 개성 있는 차종을 위한 자동차 문화 선진화 등 다양한 연관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지난 1년여 동안 다양한 정부의 노력이 있었고 각각 산하 단체가 활동을 했지만 아직 자리매김하기까지는 부족하다. 정부의 자동차 분야가 부서마다 각각 나뉘어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은 타당성이 부족하다. 전체를 보는 시야가 부족하고 총체적인 준비도 미흡하다는 것이 문제다. 선택과 집중을 통한 문제점 파악과 지원에 대한 통찰력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물론 하나로 되어 보여준다면 외부에서 보는 시각이 혼동도 줄이고 통합된 모습으로 부처 간에 서로를 인정하고 역할을 통한 시너지 효과가 필요하다.

자동차 튜닝은 튜닝자체만 봐서 발전이 되지 않는다. 자동차를 매개체로 역할분담이 중요하고 시너지 효과가 나올 수 있는 전체적인 종합 진행이 요구된다. 정확한 문제점 파악과 선진국을 벤치마킹한 한국형 모델 정립을 위한 족집게 역할도 필요하다.

예를 들어 중소기업 기반의 중견 튜닝기업을 50~100개 양성하고, 원천 기술을 가진 기업을 냉정하게 옥석을 가려 지원을 한다면 그 효과는 충분히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담당 부서인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별도로 예산을 편성하고 객관적인 시스템을 구상해 직접 밀어주는 것이다. 이는 관행처럼 행해졌던 장비 구입 등 간접적인 형태보다 중소기업을 살리는 직접 지원을 말한다.

또 자동차 튜닝은 합법적인 절차를 거쳐 하는 방법과 단순하게 탈부착을 나누어 하는 방법 두 가지로 양분되는데, 각각의 방법에서의 개선도 필요한 상황이다. 전자인 합법적인 절차의 경우 해당 규정인 자동차 관리법의 구조변경제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해야 한다. 규정상의 제도권 영역도 안전, 배기가스, 소음 등 3대 요소를 중심으로 제도권 내로 규정해 전체적인 제약을 한정함으로서 운신의 폭을 넓혀야 한다.

지난 1년 동안은 기존 제도를 정리만 할 뿐 선진형으로 업그레이드 하는 단계까지 가지 못했다. 차량 내 좌석 하나 마음대로 할 수 없고 ECU 맵핑 등도 불법이어서 목까지 차있는 기존 제약과 다를 바 없기 때문이다. 또 제도권이 아닌 합법적인 튜닝부품의 탈부착의 경우도 소비자가 편하게 믿고 살 수 있는 인증제도로 유도해 누구나 보증을 받을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현재 자동차 튜닝산업에 있어 가장 큰 문제는 시너지 효과를 확대시키고 조율하는 컨트롤 타워가 없다는 점이다. 현재처럼 역할이 저마다 다른 부처와 협회가 각개 체제로 운영된다면, 자동차 튜닝 활성화 제도는 남 탓만 하다 시간을 허비하는 공염불이 될 수 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