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가율 70% 이상 지역 속출…'깡통전세' 주의보
전세가율 70% 이상 지역 속출…'깡통전세' 주의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자료=KB국민은행

[서울파이낸스 성재용기자] 전셋값이 가파르게 오르면서 매매가 대비 전셋값 비율(전세가율)이 70%를 넘는 지역이 속출하고 있다. 이에 세입자가 전세금을 되돌려 받기 힘든 이른바 '깡통전세' 우려가 커지고 있다.

3일 KB국민은행 부동산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의 전세가율은 70,2%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동기대비 3%p 높아진 수치다.

수도권 전세가율은 60.8%로 전년대비 4.7%p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경기지역 아파트 전세가율이 69.5%로 가장 높았고 인천은 66.4%, 서울 66.1% 순이었다. 5개 광역시는 73.1%, 기타 지방 중소도시는 72.5%로 나타났다.

서울은 지난해 1월까지만 해도 전체 25개구 가운데 전세가율이 70%를 넘는 자치구가 한 곳도 없었으나 현재는 7곳으로 급증했다. 자치구 3곳 중 한 곳이 전세가율이 70%를 넘어선 셈이다.

성북구가 73.4%로 가장 높았고 이어 △서대문구 72.5% △동대문구 70.6% △관악구·동작구 70.5% △광진구 70.4% △중구 70.4% 순이었다. 또 구로구(69.9%), 성동구(69.8%) 등도 70% 선에 바짝 다가서 조만간 이 선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경기 지역도 아파트 전세가율 70% 초과 지역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1월에는 3곳에 불과했으나 지금은 18곳으로, 6배나 증가했다. 그동안은 아파트 매매가가 워낙 비싸서 전세가율이 50~60%대에 머물렀지만, 최근 전셋값이 급등하면서 경기지역도 전세가율 70% 시대에 접어들고 있는 것이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서울에 재건축이 많아지고 전세가 급감하면서 서울에서 저가 전세를 살던 젊은 층들이 경기도로 옮겨가면서 전셋값을 올려놓고 있다"라고 분석했다.

특히 성남 분당이나 고양시 일산, 부천 중동 등 지은 지 20년 된 1기 신도시의 전셋값이 2년새 20% 이상 올랐다. 오래된 신도시 지역의 경우 아파트 매매가는 조금 오르는 반면 전셋값은 빠르게 올라 상대적으로 전세가율이 높다.

고양시(70.3%)와 용인시(70.5%)는 지난 1월 이미 전세가율이 70%를 넘어섰다. 지난해 4월 처음으로 70%를 넘어선 화성시는 현재 78.0%로 수도권에서 전세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이 됐다.

인천 역시 작년 1월 70%를 넘긴 지역이 없었지만 부평구(70.1%)가 70%를 넘어섰다.

전세가율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면서 '깡통전세'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집 주인의 대출금과 보증금의 합이 70%를 넘으면 위험한 전세로 분류되고 있다. 법원 경매에서 아파트의 감정가 대비 낙찰가율이 70~80%대 이기 때문이다.

박원갑 위원은 "집 주인이 망하면 세입자도 피해를 보는 '위험한 전세살이'를 하고 있다"며 "경매로 나온 집은 보통 은행권이 대출금을 회수하기 위한 경우가 많아 세입자의 10명 중 8명 정도가 보증금의 일부 또는 전부를 날릴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