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맡길 곳 없어"…재형저축 가입자 급증
"돈 맡길 곳 없어"…재형저축 가입자 급증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7개 은행 신규가입 계좌수 2배 급증

[서울파이낸스 채선희기자] 연간 4%의 금리를 주는 근로자재형저축(재형저축) 가입자가 급증하고 있다. 저금리 기조가 장기화되면서 돈을 맡길만한 곳이 마땅치 않아진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25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IBK기업·KDB산업은행 등 7개 은행의 재형저축 신규가입 계좌 수는 7월 8077계좌, 8월 7634계좌로 집계됐다. 이는 6월 4082계좌의 2배에 해당하는 규모다.

근로소득자의 종자돈 모으기를 지원하는 취지로 마련된 재형저축은 총급여 5000만원 이하 소득자가 7년간 적금 형태로 돈을 부으면 이자소득세(14%)를 감면받는다.

지난해 3월 출시되자마자 가입자 133만명을 끌어모을 정도로 인기를 끌었지만 5개월 뒤 168만명을 기록, 증가세가 지지부진하더니 올해 3월 말에는 아예 155만명으로 감소했다. 7개 은행 기준으로 보더라도 월별 신규가입 계좌 수는 지난해 3월 108만2512계좌에서 올해 3월 7180계좌로 1년만에 100분의 1 밑으로 급감했다.

그러던 중 재형저축은 7월 들어 반등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7월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가 예고되면서 시중금리와 예금금리가 본격적으로 하락하기 시작한 시점이다.

전국은행연합회 금리공시에 따르면 대부분의 은행은 재형저축(혼합형) 상품에 출시 초기에 적용한 연 4.2∼4.6%의 금리를 유지하고 있다. 현재 시중은행 정기적금은 3년 만기 상품인 경우에도 대부분 2%대 중후반 이율을 적용하고 있어 금리차가 거의 2%p나 된다.

다만 재형저축이 본격적인 회복세를 보이기는 어려울 것이란 지적도 나온다. 신규가입자 절대치로 볼 때 전체 금융상품 가입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미미한데다 가입 기간을 7년이나 유지해야 세제혜택을 부여하는 점 등이 부담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연소득 5000만원 이하 직장인과 종합소득 3500만원 이하 사업자로 가입 대상이 한정된 점도 판매부진 이유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