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저축銀, 예금금리 인상 배경은?
상호저축銀, 예금금리 인상 배경은?
  • 서울금융신문사
  • 승인 2003.02.22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표면상 PF 자금 수혈…실상은 수익률 일시 만회 목적
잠재부실 줄이려면 서민금융기관 초심으로 돌아가야


시중은행들의 수신 금리가 3%대로 진입한 가운데, 몇몇 상호저축은행들이 수신 금리를 오히려 올리고 있어 이에 대한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금리 역행의 말못할 속사정이 있는 것인지, 아니면 금리 차별화로 공격 경영에 나선 것인지 금융계 인사들도 의구심에 빠진 눈초리다.

지난해 말부터 수도권 소재 경기, 한신, 프라임, 솔로몬, 토마토저축은행 등이 6.0% 정기예금 금리를 최고 6.8%까지 올린 데 이어 지난 17일 대영상호저축은행이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를 6.5%에서 6.8%로 0.3%포인트 인상했다. 제일저축은행도 18일부터 1천억원 한도로 정기예금 금리를 6.0%에서 6.3%로 높인 상품을 판매한다고 밝혔다.

금리를 인상한 저축은행들은 전국 115개 상호저축은행 중에 10여개사가 채 안돼 금리 인상이 저축은행 업계 전체의 경향이라고 보기는 힘들다. 그러나 시중은행 금리인하에 발맞춰 금리 인하를 검토 중이던 대다수 저축은행들에게 간접적으로 금리 상승 압력을 행사하고 있어 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

저축은행들이 이처럼 금리를 인상하는 배경에는 현재 업계가 처한 딜레마가 자리잡고 있다.

우선 지난해 공격적으로 펼쳤던 소액대출 부분에서 연체율 상승이 지속되자 마땅한 여신운용처를 찾기가 힘들어졌다. 저축은행 한 관계자는 한 때는 소액대출이 저축은행의 최고 효자상품이었지만 지금은 연체율 40% 소문이 나도는 등 골칫거리로 둔갑해 버렸다고 말했다.

이에 저축은행들이 수익성 악화 탈출을 위해 눈돌린 곳이 프로젝트 파이낸싱과 신디케이트론. 프로젝트파이낸싱과 신디케이트론은 부동산, 무역, 문화이벤트 등 그 범주가 다양하지만 저축은행들은 아파트 분양 등 부동산 분야에 주로 참여한다. 부동산 사업인 만큼 대부분 적게는 수십억, 많게는 수백억 가량의 여유자금이 필요하고 이 자원마련을 위해 한시적, 한정적으로 고금리 수신을 운용하는 것이 저축은행들이 내세우는 수신금리 상승의 표면적 이유인 것이다.

그러나 더 속 깊이 들여다 보면 업계 내부에는 여러 위기의식이 자리잡고 있다.

지난해 10월 대부업법 시행으로 금리상한선 66%내에서 대부업이 양성화되자 일부 일본계 대부업체들을 포함, 기업형 대부업체들이 저축은행의 주요 경쟁상대가 됐다. 저축은행들이 안정적 수익운용보다는 고위험 고수익을 노리고 앞다퉈 고금리 대출상품 시장에 뛰어들면서 금융계에서 저축은행이 차지하는 포지션이 애매해진 것이다.

원래 소액대출을 공격적으로 펼치기 전 대부분 저축은행들은 대출금리를 14%∼16%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운용했다. 은행권 바로 아래에서 급전이 필요한 이들을 대상으로 그야말로 서민금융기관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던 것이다. 그러나 내수 진작 차원에서 정부의 권고와 맞물려 소액 신용대출을 늘리면서부터는 기관의 성격이 모호해지기 시작했다. 더군다나 시장의 경쟁도 치열했다.

대출금리 10%대 시장은 시중 은행권이, 20%대는 카드사와 캐피탈사, 30∼40%대는 시티파이낸셜 등 미국계 캐피탈사와 할부금융사들이 주도권을 쥐고 있어 저축은행들이 힘을 발휘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또한 저축은행의 소액 신용대출 상품이 위치하고 있는 40%∼60%대 시장에서는 기업형 대금업체들과의 경쟁에서 저축은행이 패자쪽으로 가닥이 잡혀가고 있다. 전국 네트워크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저축은행 뿐만 아니라 신협, 새마을금고 등 서민형 금융기관들이 최근 2년새 6∼20% 감소한 것도 저축은행 위기의식의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2000년 146개에 달하던 저축은행들이 20.5%가 줄어 현재 115개사가 영업중이다. 전국에서 저축은행의 시장 인지도는 그만큼 낮아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위기감의 탈출구로 상당수 저축은행들은 안정형보다는 공격형 자금운용을 선택하고 있다. 고위험 고수익의 프로젝트 파이낸싱 등으로 난국을 돌파해 보겠다는 것이다. 최근 수신 금리의 인상도 이런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는 소액신용대출의 후유증도 한 몫 했다. 상당수 저축은행들이 소액대출의 부실액이 상당한 데다 도박처럼 한 번 고금리를 맛본 이후 금리불감증 증세까지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저축은행들이 고수익 부담으로 쫓기듯이 공격적으로 자금을 운용하게 되면 잠재부실 리스크도 그만큼 상승할 수밖에 없다. 게다가 현재 부동산 투자는 상당한 위험을 안고 있다. 현 정권 특성상 부동산경기 위축이 장기화될 전망인 데다 저축은행 내 프로젝트 파이낸싱 전문인력도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에 저축은행 내부에서도 조심스럽게 서민금융기관으로서 초심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작은 조직에 맞게 지역밀착형 서민금융기관으로 거듭나 내실 위주의 영업을 전개해야 한다는 것이다.

저축은행중앙회 한 관계자는 저축은행들도 부나비 근성을 버리고 자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