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증시, 대북리스크 3대 시나리오는?
국내증시, 대북리스크 3대 시나리오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조기안정·권력투쟁·정권붕괴 등 

[서울파이낸스 윤동기자]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으로 북한 권력체제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향후 전개될 수 있는 시나리오에 따라 국내 증시의 진폭도 달라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김 위원장 사망 이후 전개될 수 있는 시나리오는 크게 세가지로 요약된다. 권력 이양이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단기악재에 그치겠지만 상황이 급변할 경우 바닥을 가늠하기 힘들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견해다. 

◆ 권력승계 조기종결…"단기악재 불과"

먼저 후계자인 김정은이 순조롭게 권력을 이양 받을 경우다. 후계자인 김정은(28)이 나이가 어리기 때문에 군부의 전폭적인 지지를 얻어야 하는 등 문제가 있지만 가장 확률이 높은 시나리오로 꼽히고 있다.

권력승계 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돼 북한의 체제가 빠르게 안정될 경우 북한 리스크는 적어도 이전과 비슷한 수준으로 정리될 것으로 보인다. 증시에 미치는 영향도 이전처럼 '단기악재'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

이상재 현대증권 경제분석부장은 "향후 북한과 관련된 커다란 돌발변수가 없다면 증시는 펀더멘탈을 반영할 것"이라며 "단기악재로 그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조용현 하나대투증권 투자전략팀장도 "김정은 체제로 순조롭게 권력이 이양될 가능성이 높다"며 "북한의 체제 불안에 따른 리스크가 확대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예상했다.

하지만 권력승계 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되더라도 남북간 긴장국면은 지속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윤지호 한화증권 투자전략팀장은 "김정은 정권은 지지 기반이 약하고 국가 시스템이 취약한 상태"이라며 "대외 불안감을 고조시켜 내부결속 다지기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고 전망했다.

◆ 권력투쟁 장기화…"리스크 프리미엄 증가"

확률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권력승계 과정에서 갈등이 표출돼 권력투쟁이 장기화될 경우에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전 '김일성-김정일' 권력승계는 김일성 사망 전에 대부분의 권력이 김정일에게 승계됐지만 '김정일-김정은' 권력승계 과정은 현재 '진행형'이기 때문에 군부 내에서의 갈등이 표면화될 수 있다는 것.

먼저 김정은과 체제 초기의 수렴청정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는 고모부 장성택 간에 권력다툼이 벌어질 수 있다. 또 군부 쿠데타가 일어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같은 권력투쟁이 장기화될 경우 한국증시는 상당기간 높은 변동성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조성준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권력투쟁이 지속적으로 장기화될 경우 리스크 프리미엄 상승이 불가피하다"며 "경우에 따라서는 국가신용등급 강등, 일부 외국인의 자금이탈, 환율 상승 등이 초래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박소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도 "북한 정권이 불확실해질 경우 중장기적으로 국내 증시에 대한 투자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며 "외국인이 한국 시장에 진입하기 꺼려할 것이며 환율이나 주가도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정권붕괴…"단기적 통일쇼크 불가피"

마지막은 가장 확률이 낮은 정권붕괴 시나리오다. 김정은이 권력승계에 실패하고 권력을 쥘 만한 사람이 나오지 못해 권력이 분열되거나 북한 주민들의 시위로 정권이 무너지는 극단적인 경우다.

이 시나리오가 현실화될 경우 한국은 중국을 견제하는 동시에 통일 준비 작업에 빠르게 착수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이는 단기적으로 한국 증시에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국제신용평가사 S&P는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적용을 통해 본 한국 정부의 신용등급'이라는 분석 자료를 통해 "재정수지 및 경상수지의 적자전환과 1인당 GDP 급감, 신용등급 하향 등 경제적 타격이 상당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통일에 대한 긍정적인 분석도 적지 않다. 북한은 석유개발 등에 대한 투자가 활성화 돼 있고 금이나 마그네슘 등 광물자원도 풍부하기 때문이다.

골드만삭스는 지난 2009년 보고서를 통해 "한반도가 통일할 경우 2050까지 일본과 비슷한 경제규모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장기적으로는 한반도의 경제규모를 확대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도 "1994년 10월 독일 통일 전후 독일 금융시장에 트리플 약세 현상이 나타났지만 오래 가지는 않았다"며 "다음해 상반기부터 빠른 회복세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